2011년 2월 28일 월요일

텍스트큐브의 멸망과 망가진 블로그

텍스트큐브가 망하면서 결국 blogspot이라는 주소로 블로그가 이전되었습니다. 그동안 차곡차곡 글을 쓰면서 행복하게 지켜봐왔던 정든 블로그인데 참 아쉬웠어요. 그리고 blogger로 이전되면서 이제까지 써왔던 스킨이며 메뉴며,, 싸그리 다 날아가버렸습니다... blogger와 텍스트큐브는 참 많은 점이 다르더라구요. 바꿀 것도 참 여러가지고, 페이지가 안 뜨는 오류까지 있는 걸 보니 암담합니다. 그래도 다시 처음부터 만들어볼래요.

2010년 5월 9일 일요일

국립극단 '통닭' 티켓 세 장

 

 

 2009년 1월에 보러갔던 공연 <국립극단 특별기획공연 스튜디오 배우열전-통닭>은 지금까지 살면서 처음 본 연극이어서 기억에 남는다. 사람들은 공연을 보러가면 보통 영화나 콘서트, 그리고 관심있는 사람은 뮤지컬을 보러 가곤 한다. 그런데 사실 연극은 잘 보지 않게 된다. 그건 아마 연극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느린 속도를 바쁜 현대인들이 답답해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연극 뿐만 아니라 뮤지컬, 콘서트, 영화 등등 모든 문화 생활에 담을 쌓고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우리집도 마찬가지다. 먹고 살 돈도 부족한데 여가 생활은 무슨 얼어죽을. 이런 우리집에 연극 티켓 세 장이 들어온 것은 보통 일이 아니었다.

 

 그 때 나는 인터넷 경품 사이트에 푹 빠져 있을 때였다. 어느 날 경품 사이트에 올라온 '통닭 이벤트'라는 글자를 보고 호기심에 클릭했는데, 그 통닭은 '먹는' 통닭이 아니었다. 국립극장에서 연극 <통닭>을 홍보하면서 이벤트를 열었던 것이다. 연극 소개 페이지를 보고 '참 재미있겠다', '보러가고 싶다' 같은 글을 잘 쓰면 티켓을 주는 이벤트였는데 진솔하게 어떤 내용일까, 이 연극을 보고 싶은 이유를 써내려갔더니 떡하니 당첨되었다.

 

 이렇게 해서 연극도 난생 처음 보고 국립극장 별오름극장이란 데도 난생 처음 가보게 되었다. 이런 데에 처음 가보니까 그런지 가는 길이 참 복잡하게 느껴졌다. 극장 안은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약간 초라해보였다. 꽤 넓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좁아서 의아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 좁은 극장 덕분에 배우와 관객이 더 친밀감을 느끼고 작품에 몰입할 수 있었던 게 아닌가 생각된다.

 

 티켓은 현장 수령이었는데, 수령한 티켓에 '0원 으뜸석 초대권'이라고 적혀 있었다. 그런데 사람이 좀 적게 와서인지 앞줄에 좋은 자리로 바꿔줘서 재미있게 봤다. 별오름극장의 친절했던 직원 분들이 참 기억에 남는다.

 

 

2010년 3월 18일 목요일

나는 뭘 배우고 있는 걸까?

ㅈ씀

 

요즘 자꾸 드는 생각.

나는 지금 대학에서 뭘 배우고 있는 걸까?

마야, C언어 같은 것들은 컴퓨터학원, 아카데미 같은 데서도 배울 수 있는 것들인데 굳이 비싼 등록금 내고 대학에 다녀야 할 필요가 있는 걸까?

그리고 수업들 분위기가 점점 영화 제작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서 실망스럽다.

나는 영화 만들려고 대학 온 게 아닌데...

정말 나는 뭘 배우고 있는 걸까?

내가 대학에서 놓치고 있는 건 뭘까?

 

 

[MAYA]마야 기본 화면

 

[그림1]

마야를 처음 켜면 나오는 기본 화면입니다.

아래쪽에 persp라고 적혀 있는데, perspective view가 켜져 있는 상태입니다.

원근감을 느낄 수 있는 화면이에요.

여기에서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4 view로 전환됩니다.

 

[그림2]

top, persp, front, side 이렇게 총 네 개의 view가 보이시죠?

이것들은 카메라와 같습니다.

top은 위에서 본 모습, front는 앞에서 본 모습, side는 옆에서 본 모습이에요.

이 중 한 화면에 도형을 그리면 나머지 화면에도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각 view들을 클릭한 후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그 view만 커져요.

 

[그림3]

이제 도형을 그려볼게요.

도형을 그리는 방식에는 NURBS와 Polygon이 있어요.

이것들의 차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그리는 연습만 해보아요.

Create > NURBS Primitives에서 여러가지 도형을 그려봅시다.

Sphere는 구, Cube는 직사각형, Cylinder는 원통..... 등등 다양한 도형이 있으니 선택해보세요.

 

[그림4]

도형을 클릭하면 Drag on the grid라는 말이 화면에 뜹니다.

선택한 도형을 persp view에서 클릭 & 드래그 하여 적당히 크기를 잡아줍니다.

top, front, side view에 그려도 상관 없어요.

하나의 물체를 네 개의 카메라가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도형 밖의 화면을 클릭하면 연두색이었던 도형이 파란색으로 바뀌어요.

다시 도형을 클릭하면 연두색 선으로 바뀌어요.

 

{클릭&드래그를 안 했는데 화면에 나타나요}

도형을 클릭했는데 Drag on the grid라는 말이 화면에 뜨지 않고,

바로 화면에 도형이 그려지는 경우가 있어요.

이 경우에는 [그림4-1]처럼 설정을 바꿔주면 됩니다.

 

 

 

 

 

 

 

 

 

 

 

 

 

 

 

 

 

[그림4-1]

Create > NURBS... 또는 Polygon... > Interactive Creation에 체크를 해주면 됩니다.

마야를 계속 공부하다보면 점점 그리는게 귀찮아서 흔히 체크를 해제하고 쓴다고 하네요.

 

[그림5]

도형을 간편하게 그리는 또다른 방법이 있어요.

빨간색 네모 안에서 Surfaces 또는 Polygon을 클릭하면 다양한 도형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Surfaces를 클릭하면 NURBS 도형이 나오고, Polygons을 선택하면 Polygon 도형이 나옵니다.

NURBS와 Polygon의 차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보기로 해요.

 

 

 

 

 

 

 

 

 

 

 

 

 

 

 

 

 

 

 

[그림6]

이번에는 그린 도형을 삭제해 보아요.

간단하게 도형을 클릭하고 Delete 키를 누르면 된답니다.

또는 도형을 클릭하고 메뉴에서 Edit > Delete를 눌러도 지워져요.

 

그런데, 한 번 그린 도형은 화면에서 움직일 수 없는 걸까요?

물론 아니겠죠~

다음 시간에는 도형을 움직이는 세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2010년 3월 5일 금요일

영상미학 조발표 hell

영상미학 수업을 들으러 갔다가 만나게 된 Hell.

 

영상미학 교수님이 학기 중에 조발표를 한다고 했다. 아직 수강변경기간이라 다음주에 수강생이 확정되면 그 때 조를 짠다고 했다. 그리고 출석부 순서대로 조를 만든다고 했다. 그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앞자리에 앉은 어떤 사람이 "개인적으로 조 짜면 안돼요?"라고 물어봤다. 교수님은 "아는 사람끼리 조를 짜면 남는 사람이 있어서 안 돼요"라고 했다. 그러자 다른 학생이 "그럼 남는 사람들끼리 몰아넣으면 되잖아요"라고 했다. 몰아넣는 표현을 쓰다니? 남는 사람 기분 나쁘게. 갑자기 물리학실험 때의 hell이 떠올랐다. (물리학실험 Hell 보러가기) 교수님은 다수결로 결정하자며 손을 들어보라고 했다.

 "아는 사람끼리 조 짜자는 사람?"

 그랬더니 겨우 몇 명 손들었다. 나는 왜 이렇게 적게 손을 들었는지 의아하게 생각했다. 그런데 학생들이 몇명씩 한 조냐고 되물었다. 손 안 든 건 혹시 자기가 친한 사람들이랑 같은 조가 안 될까봐서 그런 거였다.

 "이번에는 그냥 출석부 순서대로 자르자는 사람?"

 그랬더니 아무도 손을 안 들었다.

 

 

 

[영상미학]오리엔테이션

 

 

 영상미학 강의를 이번 학기부터 듣게 된다. 영상미학은 말 그대로 '영상의 미학'을 탐구하는 강의다. 영상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공부하게 된다고 한다. 교수님이 우리는 늘 미학을 생각하며 살아간다고 했다. 심지어 옷을 입을 때도 어떤 옷을 입을 것인지, 색깔은 어떤 것으로 고를 것인지 등등을 생각한다고... 근데 생각해보니 나는 대충 아무거나 입으니까 공감이 안 됐다. 어쨌든 영상물 안에도 우리가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미학들이 곳곳에 숨어있다고 한다. 그것을 다루는 게 이번 강의다.

 

 안타깝게도 이 수업에도 조발표가 있다. 나는 조발표가 제일 싫다. 앗 이거 Hell에다 써야지..

        [영상미학 조발표 Hell 보러가기]

 

 

 

[C프로그래밍]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래밍 과목을 다시 듣게 되었다. 저번 학기엔 프로그래밍 과목 때문에 아주 머리가 아팠다. 그것만 열심히 하느라 다른 과목들을 다 놓쳐 버렸다. 이번 학기엔 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 물론 프로그래밍이라는 게 내가 직접 해봐야 느는 것이겠지만, 강의가 어렵지 않았으면 좋겠다.